id="tt-body-page" 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>
본문 바로가기
뉴스 issue 정보

추석: 서울사랑상품권 7% 할인·최대 12% 페이백(구매·환불·사용법 총정리)

by 만담toss 2025. 9. 14.
반응형

서울시가 추석(2025)을 앞두고 2755억원 규모의 ‘서울사랑상품권’을 자치구별로 9월 16~18일에 순차 발행합니다. 기본 7% 할인에 일부 자치구의 페이백(2~5%)을 더하면 최대 12% 실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페이백 적용방법, 구매· 환불규정, 사용처까지 한 번에 정리하였습니다.

 

1) 발행규모·일정·기본혜택 

1. 총 발행규모: 2,755억 원.

2. 발행기간:

  • 2025년 9월 16일(1일차), 9월 17일(2일차), 9월 18일(3일차)
  • 자치구별 시간대별로 순차 판매 (동시접속 분산 목적). 

3. 기본 할인율: 국비 지원으로 기존 5%에서 7%로 확대

4. 구매 채널:

  • 서울페이플러스(서울pay+) 앱
  • 일부는 네이버페이(NPay)로 구매 가능.
  • 앱 사전설치·회원가입 권장

 

2) 페이백(자치구별): 최대 12% 혜택 계산법

1. 무엇:

  • 일부 자치구에서 결제 시 결제금액의 일부(2~5%)를 상품권으로 환급(페이백)
  • 환급은 결제 다음 달 상품권 형태.

2. 대상 자치구 & 비율(서울시 발표):

  • 중구: 2%
  • 용산·성북·강서·서대문·관악: 각 3%
  • 동작·양천·구로·금천·강남: 각 5%

3. 최대 12% 계산 근거:

상품권을 7% 할인 가격에 구매 → 실제 결제 시 추가로 최대 5% 페이백 (7% + 5% = 12%)

10만원 구매 시 즉시 결제액 93,000원(=100,000×0.93)
→ 결제 후 다음 달 5% 페이백(5,000원 상당 상품권)
→ 실질 혜택 = 12,000원.

3) 구매·결제·환불

1. 구매 앱:

  • 서울페이플러스(서울pay+)에서 1인 월 구매한도 50만원, 보유 한도 150만원.
  • 네이버페이 머니(NPay)로도 구매 가능해 청년층 접근성 높음. 

2. 환불 규정(꼭 기억):

  • 구매 후 미사용이면 전액 취소 가능.
  • 계좌이체(현금)로 구매한 경우: 보유 금액 중 60% 이상을 사용한 경우에만 잔액 환불 가능.
  • 신용카드로 구매한 경우: 잔액 환불 및 선물하기 불가.
    → 계좌이체/선불형 결제(NPay 머니 등) 사용법을 사전에 확인

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모습. [연합]

4) 사용처·제한사항

1. 사용 범위

  • 자치구별(구 안)에서만 사용 가능
  • 예로서, 종로상품권은 종로구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.
  • 이웃 자치구에서 사용 불가. (자치구 경계 유의)

2. 판매 기간 중 앱 기능 제한:

  • 동시 접속 폭주를 막기 위해 판매일 3일간(09:00~19:00)
  • 앱 회원가입은 사전에 해둘 것.

 

5) 사용 혜택

1. 가계(소비자):

  • 명절 선물·장보기 비용에서 즉시 7% 할인 + 페이백(최대 5%)로 추가 절감 
  • 실사용자별로 최대 12% 절감.
  • 작은 가계에서는 식비·선물비에서 체감 가능한 절감 효과.

2. 소상공인·골목상권: 소비 촉진으로 명절 매출 회복 기대

3. 단점(유의):

  • 사용처 제한(자치구 내),
  • 카드구매 환불 불가
  • 거주지·사용패턴에 따라 혜택 격차 발생 가능.

 

6) ‘최대 혜택’ 실질적인 방법

1. 사전 준비: 서울페이플러스 앱 미리 설치·회원가입(앱 고객센터: 1600-6120). 

2. 페이백 높은 자치구 우선: 5% 페이백(예: 강남·구로 등) 자치구의 상품권을 사용 가능한 대상이라면 우선 구매(실질혜택 최대). 

3. 결제수단 선택:

  • 환불 가능성을 남기려면 계좌이체/선불형(NPay 머니 등)을 우선 검토
  • 단, 계좌이체는 ‘60% 이상 사용 시 잔액 환불’ 규정 확인
  • 신용카드 구매는 환불·선물 불가. 

4. 사용 계획 미리 세우기:

  • 자치구 경계 때문에 ‘쓸 곳’을 미리 정해두고 보유 한도(150만원)를 관리.
  • 가족·이웃과 나눌 계획이면 선물 불가 규정(카드 구매) 유의. 

 

7) 다른 지역의 유사 행사 & 제도 동향

  • “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” 개정으로, 비슷한 명절 이벤트나 할인율 상향 사례가 더 많아질 가능성이 큼. 
  • 인구감소지역 등에 대한 특별 할인 및 우대 제도 확대 중임. 예산이 허락하는 지역에서는 할인율 + 한도 상향 조치 시행 중. 
  • 제주 “탐나는전”은 이미 할인·적립 인센티브가 기본적으로 있고, 과거에도 명절 전환 이벤트(환급·할인)가 반복됨. 따라서 “추석맞이 할인·환급 행사”도 가능성이 꽤 높음.
경북 지역
(시‧군 지역화폐)
추석을 앞두고 지역화폐
최대 20% 할인 적용 
1인당 구매 한도, 자치구 기준 등 지자체별로 다름.
할인율이 20%인 경우 모두에게 동일하진 않음.
인구감소지역 지자체
(경북 봉화군, 인천 강화군 등)
지역화폐 할인율이 평소보다 높게 조정됨
(10% → 15% 등) 
예산 및 이용자 규모, 지자체 예산 여건 따라 행사.
지속성이 다를 수 있음.
속초시
(“속초사랑상품권”)
조례상 최대 10% 할인 인센티브 가능.
전자상품권 할인판매 및 인센티브 제공 사업 조항
“할인기간 및 할인대상”은 예산의 범위 내.  
명절 행사로 할인율 높이는 경우도 있지만,
상시율은 낮을 수 있음.
의왕시
(“의왕사랑상품권”)
상시 할인률 6%, 특별할인 시 10% 가능.
카드형/지류형 등 형태 다양함. 
구매한도, 할인 적용 조건, 사용처 
지역마다 상이.
어떤 혜택은 특정 업종(전통시장 등)에 제한.
전국 제도 & 정부 정책 “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”
지자체의 발행 및 할인비용 등에 대해  지원 강화.

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 지급 확대 및 지역상품권/지역화폐에 포함되는 경우가 늘고 있음.
명절/특정 소비 촉진 시기에 지자체가 할인율
한시적으로 상향하는 경우
(평소 7~10% → 명절 10~15%) 가능

①경북 지역: 추석 맞이 행사로 “지역화페 최대 20% 할인”이라는 보도가 있음.

②속초시 조례:

  • 상품권 할인 판매 인센티브를 포함
  • 개인 구매자 대상 최대 10% 할인 가능하다는 조항

③의왕시:

  • 평시 할인률이 6%이며, 특별 이벤트 또는 기간 한시적으로는 10% 할인 제공됨.
  • 다양한 상품권 유형 존재 (지류, 카드형)이라는 점도 사용자 편의 요소.

[출처: 기프티쇼 비즈}

 

8) 실행 가능성이 높은 지역 & 할인률·행사 상황

  • 행정안전부 발표(2025년 9월 1일 기준):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을 기존 5~10%에서  7~15% 로 전반적으로 상향. 특히 특별재난지역은 여기에 추가 인센티브로 최대 20% 할인 가능성이 있음. 
  • 이 정책은 2025년 연말까지 유효한 것으로 발표됨. 

속초시 기존 10% 할인
현재 15% 할인
개인 구매 한도 월 50만원 → 70만원으로 상향.
보유 한도도 150만원 → 200만원. 
2025년 9~12월 동안 할인율 15% 적용. 
인제군 할인율 기존 10%
13%로 상향됨. 
구매 한도 월 70만원 → 10월부터 월 100만원 예정.  상향 “이달부터”(즉 2025년 9월) 시행. 
고성군 할인율 기존 10%
15% (한 달간) 
구매 한도 최대 100만원.
대상은 전통시장/매출 기준 가맹점 등 제한 있음.  
2025년 9월 한 달간 행사.  
춘천시 상시 할인율 7%,
명절 특수기간 13% 
예측 대상자 약 30만 명 혜택 예상.   명절(추석) 시점에 특수 할인 적용 예정. 2025년 하반기 행사.  
대구시
대구로페이
기존 7% 할인
13% 할인
발행 규모 대략 3,180억원 (2차 발행),
1인당 구매 한도 보유 한도 조정 (100만원으로 상향)  
2025년 9월부터 시행
“다음 달 1일부터 2차 발행” 보도.  
문경시 상시 6%,
특별할인 기간 10% 
지류/모바일/카드형 상품권 모두 있음.
구매/사용처 등 지역 내 가맹점 중심.  
할인 행사 “특별할인 기간”
시점 확정되지 않음.  
상주시
상주화폐
평시 6% 할인,
명절, 이벤트 10%   
개인 월 할인 한도 50만원 (이벤트 시 월 100만원)   명절·이벤트 시 적용.
구체 발행일은 시 공지 따름.  

 

7) 자주 묻는 질문(FAQ)

  • Q: NPay로 구매하면 환불은?
    A: 서울시 안내에 따르면 NPay 머니는 선불 결제수단으로 구매 가능하나 환불 조건은 결제수단별로 다를 수 있으니 구매 전 약관·서울페이플러스 공지 확인 권장. 
  • Q: 페이백은 언제 지급?
    A: 결제 다음 달에 해당 자치구 상품권으로 환급됩니다(예산 소진 시까지). 

 

2025년 추석 ‘서울사랑상품권’은 한 번의 구매로 명절비용을 줄이고, 동네 상권도 살리는 ‘윈윈’ 기회입니다. 다만 자치구 사용 제한·결제수단별 환불 규정을 반드시 확인하고, 페이백 비율이 높은 자치구 우선 사용 계획을 세우세요.
지금 바로  앱 설치 → 회원가입 → 사용계획(어디에서 쓸지) 수립 / 그리고 발행일(9/16~18) 오전 시간을 체크하세요.

많은 지역에서 할인률 상향은 확정되었지만,  정확한 ‘발행일’ 또는 ‘특별 이벤트 기간’ 은 아직 공지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(춘천, 문경, 상주 등). 또한 할인 혜택, 구매 한도, 보유 한도, 환불 규정 등은 지자체마다 다르므로 공식 홈페이지 또는 지역 상품권 앱 공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. 잊지 마세요!

 

반응형

<amp-auto-ads type="adsense"
        data-ad-client="ca-pub-9240924341739325">
</amp-auto-ads>